검색결과 리스트
공공정보 비공개에 해당되는 글 1건
- 2015.08.20 권익위, 행정심판 결과 분석해 공공정보 비공개 기준 제시
권익위, 행정심판 결과 분석해 공공정보 비공개 기준 제시 |
사생활 침해, 업무수행 저해 우려가 있을 경우 비공개 |
□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(위원장 홍성칠, 이하 중앙행심위)는 최근 공공정보의 공개를 요청한 행정심판 결과를 분석하여 일반 국민들이 비공개 대상이 되는 공공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 기준을 제시했다.
중앙행심위는 행정기관이나 대학 등이 생산·관리하는 공공정보지만 ▲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▲공정하고 원활한 업무수행에 지장을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▲경영·영업상의 비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공개 대상이라고 결정했다. □ 중앙행심위가 비공개 대상 공공정보로 결정한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❍ 치료감호소 수감자에 대한 심리치료 평가서의 경우 공개가 되면 평가자의 신분이 노출되어 객관적 평가 등 공정한 치료감호 업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비공개하였다. ❍ 부당해고 구제신청 심문회의의 녹취록을 공개하라는 요구에 대해서는 신청인의 사생활 침해는 물론 심문위원들의 신분노출로 자유롭고 충분한 의사표명 및 심문절차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비공개하였다. ❍ A대학이 공개를 거부한 대학발전기금 정보 중 기금을 납부한 개인 또는 단체의 신상이 포함된 수입세부내역은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, 기금제공내역 자체가 경영·영업상의 비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해 비공개하였다. 반면 대학발전기금관리위원회의 위원명단 및 회의록과 홍보·광고비 집행내역은 경영·영업상의 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공개토록 하였다. ❍ B대학이 비공개한 직원징계위원회 회의록 및 징계의결서 등에 대해서도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, 징계위원회의 경우 자유롭고 충분한 토론·의결과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비공개로 결정했다. ❍ 한편, 우표, 우편엽서 등의 제조원가·납품가격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이 다년간의 경험과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축적한 독립적·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경영·영업상의 비밀에 해당된다는 이유로 비공개토록 하였다. □ 국민권익위원회 관계자는 “공공정보라 할지라도 공개할 경우 더 큰 공익이 손상되거나 특정 개인 또는 단체의 권리가 침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비공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”면서, 앞으로도 정보공개 행정심판 사건에 관한 공정한 심리를 통해 공공정보의 공개·비공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. |
도급공사가 산재보험에 미가입했는데... 발주자 직영공사 재해를 산재 미가입으로 처리는 잘못 (0) | 2015.08.21 |
---|---|
하도급업체의 일방적인 신고 내용에 따른 건설업 영업정지처분은 잘못 (0) | 2015.08.20 |
(보도자료) 전공명에 ‘심리’ 없다고 임상심리사 응시자격 제한은 잘못 (0) | 2015.08.13 |
(보도자료) 20여 년 전 폐광됐어도 단체사진․증언 등으로 실제 근무한 것이 확인된다면 진폐위로금 지급해야 (0) | 2015.08.13 |
(보도자료) 정당한 사유없이 공장용지 특별공급 제한은 위법·부당 (0) | 2015.07.27 |
RECENT COMMENT